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서울시가 청년들의 자립을 돕기 위한 대표 자산 형성 지원 사업, ‘희망두배 청년통장’이 2025년에도 신규 참여자 1만 명을 모집합니다.  청년이 스스로 저축한 금액만큼 서울시가 동일 금액을 매칭해주는 방식으로, 최대 1,080만 원 + 이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.

     

    ✅  남들은 다 신청했는데 나만 신청하지 못했나?✅

     

     

   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2025 신청기간 및 방법, 지원내용
   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2025 신청기간 및 방법, 지원내용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신청 기간 및 방법

     

    1. 신청 기간: 2025년 6월 9일(월) ~ 6월 20일(금)

     

    2. 신청 방법 :

    • 온라인: 서울시 자산형성지원사업 누리집 (PC에서만 가능)
    • 오프라인: 거주지 관할 동주민센터 방문 신청
    • 신청 메뉴: 사업 신청 → 희망두배 청년통장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지원 대상

     

    다음 4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.

     

    1. 거주 요건: 서울시에 주민등록된 거주자

     

    2. 연령 요건: 만 18세 ~ 만 34세 (제대군인은 만 36세까지)

     

    3. 근로 요건

    • 최근 1년 이내 3개월 이상 근로 또는 현재 근로 중
    • 근로 형태 무관
    • 월 10일 이상 또는 월 60시간 이상 근로 인정

    4. 소득 및 재산 요건

    • 본인 세전 월평균 소득 255만 원 이하
    • 부모(또는 배우자) 연 소득 1억 원 미만, 재산 9억 원 미만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지원 내용

     

    1. 저축 금액: 매월 15만 원

     

    2. 서울시 지원금: 본인 저축액과 동일한 금액(100%)

     

    3. 저축 기간: 2년 또는 3년 중 선택 가능

     

    4. 적립 예시:

    • 2년 저축 시 총 720만 원 + 이자
    • 3년 저축 시 총 1,080만 원 + 이자
    • 자금 사용 목적: 주거 마련, 결혼 준비, 학자금, 창업 등 자립 기반 조성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025년 주요 변경 사항

     

    1. 선발 방식 변경: 자치구별 모집 → 서울시 일괄 선발로 통합

     

    2. 제대군인 지원 강화: 신청 가능 연령 만 36세로 확대

     

    3. 가점 부여 대상 추가: 쉼터 퇴소 청소년, 학교 밖 청소년

     

    4. 근로 인정 기준 완화: 월 10일 이상 또는 60시간 이상이면 인정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참가자 의무사항

     

    1. 적립 기간 동안 서울시 계속 거주

     

    2. 전체 기간의 50% 이상 저축 및 근로 유지

     

    3. 연 1회 이상 금융 교육 이수

     

    4. 기타 약정 사항 성실히 이행

     

    5. 만기 시 근로 및 저축 실적 증빙 필수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신청 제외 대상

     

    1.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급여 수급자

     

    2. 본인 명의 통장 개설이 불가능한 자

     

    3. 서울시 유사 자산형성지원사업 참여 이력자

     

    4. 사치, 향락, 도박 관련 업종 종사자

     

    5. 군 복무 중인 자 (현역, 상근, 사회복무요원 등)

     

    6. 서울시 청년수당, 청년월세 지원사업 참여 중인 자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유의사항

     

    1. 제출 서류가 미비할 경우 별도 안내 없이 탈락 처리될 수 있음

     

    2. 신청 전, 자치구 또는 120 다산콜센터를 통해 자격 확인 권장

     

    3. 예산 범위 내 선발이므로 조기 마감될 수 있음

     

    4. 신청 요건을 충족하더라도 서류 심사 및 소득·재산 조사 결과에 따라 탈락할 수 있음

     

    5. 최종 합격자 발표: 2025년 11월 4일 예정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부가 프로그램

     

    참여 청년은 아래의 자산관리 교육 프로그램에도 참여하게 된다.

    • 기본 금융 교육
    • 1:1 재무 상담 및 멘토링 프로그램
    • 저축 및 소비 습관 개선 지원